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 ‘차량 통신 시스템 기반 유용한 아이디어’ 주제로 국립한밭대, 충북대, 한남대, 한동대의 공학계열 학생 29명이 연합 프로젝트 수행
□ 우리 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는 지난 30일 교내 창의혁신관에서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한 ‘제10회 한밭모비 CAN통신 캠프’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 이번 캠프는 ‘차량 통신 시스템 기반 유용한 아이디어’를 주제로, 국립한밭대, 충북대, 한남대, 한동대 4개 대학의 공학계열 학생 29명이 다학교·다학제·다학년으로 10개 팀을 구성하여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 프로그램은 주제와 관련된 CAN통신 기초 개념 이론 교육과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CAN통신 관련 Tool를 다루는 실습, 현직 차량개발연구소의 연구원이 참여하는 아이디어 실현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멘토링 등으로 구성했다.
○ 각 팀의 학생들은 최종 과정으로 팀별 결과물에 대한 발표를 하며, 산업체 및 대학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를 평가받았으며, 심사 결과 국립한밭대학교 총장상인 대상은 ‘차량 내 건강 위험 시스템’을 제시한 국립한밭대 전자공학과 김영빈, 충북대 반도체공학전공 배규진, 한동대 기계제어공학부 지예은 학생 팀이 수상했다.
□ 박준식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은 “앞으로의 교육은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아닌,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경험을 공유하는 형태로 변화해 갈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경험이 학생들에게 흥미와 성취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값진 시간이 되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또,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한국기술교육대 설순욱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은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심사한 심사위원의 의견이 반드시 정답은 아니다”라며, “심사 결과에 너무 얽매이지 않았으면 좋겠고, 이번 캠프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소통한 경험이 앞으로의 진로와 삶에 큰 자산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이어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일수록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번과 같은 경험을 발판 삼아 자신만의 방향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