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창의융합학과 김성주 교수, 한국유연인쇄전자학회 ‘우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이미지
창의융합학과 김성주 교수, 한국유연인쇄전자학회 ‘우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00
  • □ 우리 대학 창의융합학과 김성주 교수가 지난 17일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2025년 한국유연인쇄전자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본 상은 유연인쇄전자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내 젊은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며, 김 교수는 AI-based Optimization of Inkjet Printing Process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김성주 교수는 잉크젯 프린팅 공정에서 인공지능 기법을 기반으로 액적 토출 및 건조 공정 최적화 연구를 통해 유연인쇄전자 전 분야에 기여했다.○ 특히 주요 연구 주제는 이론 및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공정을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예측 대안 모델을 개발하고, 강화학습을 통해 공정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관련 국제학술지에 3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학생으로 참가하던 학회에서 이제는 조교수로서 우수 젊은 과학자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큰 영광이며, 훌륭한 연구자가 되도록 지도해주셨던 POSTECH 정성준 교수님과 UNIST 권지민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이번 수상이 앞으로 더 열심히 연구하라는 의미로 생각하고 더 좋은 연구를 통해 보답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 등록일2025-10-23 15:16:59
응용소재공학과 박정윤 대학원생,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상 수상 이미지
응용소재공학과 박정윤 대학원생,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89
  • - 충청권 분산에너지 대응 에너지기술공유대학 사업 지원 통해 우수 연구성과 창출□ 대학원 응용소재공학과 박정윤 석사과정생이 지난 16일 서울 엘타워에서 개최된 2025 기후에너지 일자리 박람회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 시상식에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박정윤 대학원생은 충청권 분산에너지 대응 에너지기술공유대학(CCETU)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를 통해 에너지 소재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분야의 성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해당 연구는 코발트(Co)와 철(Fe)의 동시 치환을 통한 공기극 성능 개선으로 기존 Co 기반 적층형 페로브스카이트(xss-layered perovskite) 공기극의 높은 열팽창 계수(TEC) 문제를 Fe 치환으로 안정화했으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성능 저하를 금속 Co 용출(xss-metal Co exsolution)을 통해 보완하여 열적 안정성과 전기적․전기화학적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켰다.○ 특히 이번 수상에는 CCETU 공동연구개발기관인 국립한밭대 분산에너지기술혁신연구소(소장 이승윤 교수)의 연구지원 체계가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박정윤 대학원생은 SCIE급 논문 3편(이 중 2편은 상위 20% 이내 최우수 저널)을 게재하고, 국내 특허 1건, 포스터 발표 2건 및 우수포스터상 수상 등 다수의 연구 성과를 달성했다.○ 박정윤 대학원생은 계속해서 고온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를 통해 국가 에너지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했으며, 지도교수인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는 박정윤 학생의 우수한 연구 역량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통해 인정받아 기쁘고, 앞으로 연구자로서의 밝은 미래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본 수상의 기반이 된 충청권 분산에너지 대응 에너지기술공유대학(CCETU)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국립한밭대학교를 포함한 충청권 7개 대학이 협력하여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 등록일2025-10-21 14:55:34
산업경영공학과 서준혁 박사·배성민 교수, ‘2025 KSQM-QMOD-ICQSS’ 최우수논문상 수상 이미지
산업경영공학과 서준혁 박사·배성민 교수, ‘2025 KSQM-QMOD-ICQSS’ 최우수논문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709
  • 산업경영공학과 서준혁 박사(왼쪽)와 배성민 교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선제적 안전보건관리체계 수립 실증 연구□ 우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서준혁 박사와 배성민 교수가 지난 26일에서 28일까지 연세대학교에서 개최된 2025년 추계 KSQM-QMOD-ICQSS 공동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는 한국품질경영학회(KSQM)와 유럽연합학회인 QMOD가 공동 개최했으며, QMOD는 매년 30여 개 국, 100명 이상의 품질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유럽 기반 품질경영학회 중 가장 권위 있는 학회로, 약 100여 편의 논문 중 사전 심사를 통해 총 4편의 최우수 논문을 선정했다.○ 서준혁 박사와 배성민 교수가 공저한 AHP-IPA 기법을 활용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기업의 핵심요인 도출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중대재해처벌법(SAPA)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안전보건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실증 연구를 다뤘다.○ 본 연구를 통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예산 배분 전략부터 예방 활동 실행 수준까지 절차적 책임 구조가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중대재해 예방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서준혁 박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연구로 수상을 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앞으로 관련 연구를 확대하여 기업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 등록일2025-09-30 15:45:31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 차세대 연료전지용 고성능 공기극 조성 특성 규명  이미지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 차세대 연료전지용 고성능 공기극 조성 특성 규명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680
  • □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기극 조성의 특성을 규명했다.○ 해당 연구는 코발트(Co) 및 철(Fe) 치환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중․저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IT-SOFC)용 공기극 설계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번 연구는 홍유택 석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지난 23일 한국세라믹학회 SCI 학술지 Journal of Korean Ceramic Society 온라인판에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xss-layered perovskite cathodes with Co and Fe substitution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적층형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SmBaCo2xFe2(1-x)O5+(SBCF) 조성을 합성해 Co와 Fe의 치환 비율에 따른 전기적․전기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Co 치환량이 높은 조성(x0.7)에서 최소 100S/cm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확보했으며, 특히 SBCF 1.80.2_1200 조성은 300℃에서 764.99S/cm의 최고 전도도를 기록했다.○ 또한, SBCF와 CGO91을 혼합한 복합 공기극 중 SBCF 1.80.2_1100 조성은 700℃에서 0.06․㎠의 낮은 면적비저항(ASR)을 나타내며 탁월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성능 향상이 이온 수송 개선, 열팽창 불일치 감소, 삼상경계면(TPB) 확장 효과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입자 성장이 촉진되고 치밀한 미세구조가 형성됨을 확인했으며, 특히 SBCF 1.80.2_1200 조성은 평균 입자 크기가 약 4.68㎛로, 높은 전도도와 일관된 성능을 보였다.□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Co와 Fe의 치환을 통한 조성 제어가 전기전도도와 전극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며, 특히 최적 조성을 도출해 차세대 IT-SOFC용 공기극 설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성과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홍유택 석사과정생은 Co와 Fe의 치환 비율에 따른 전도도와 전극 성능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 성과로, 특히 실제 작동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공기극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앞으로는 IT-SOFC용 고성능 소재 개발에 더욱 집중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국립한밭대학교와 ㈜EXSEN, 브루나이다루살람대학교(Universiti Brunei Darussalam),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청권 분산 에너지 대응 에너지기술공유대학(No. RS-2024-00394769)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등록일2025-09-25 17:26:22
화학생명공학과 이동건 대학원생, ‘2025 E-MRS Fall Meeting’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수상 이미지
화학생명공학과 이동건 대학원생, ‘2025 E-MRS Fall Meeting’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711
  • - 고효율 해수 담수화 및 지속 가능한 물 정화 기술 개발□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이동건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최원산)이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폴란드 바르샤바공과대학교(Warsaw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 개최된 2025 유럽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The 2025 European Materials Research Society, E-MRS 2025 Fall Meeting)에서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E-MRS 학술대회는 세계 양대 재료학회 중 하나인 유럽재료학회 주관으로 매년 열리는 국제 학술대회로, 재료과학 및 나노기술, 에너지, 환경, 바이오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가 발표된다.○ 그리고,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는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다수의 포스터 논문 중 창의성과 학문적 기여도가 높은 연구를 선정하여 수여한다.□ 국립한밭대 이동건 대학원생은 Reverse Pilloti-Inspired Evaporator for Enhanced Interfacial Evaporation and Salt Rejection in Sustainable Water Purification을 주제로 한 연구 발표로 혁신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연구팀은 본 연구에서 역 필로티(reverse pilloti) 구조를 모사한 새로운 태양광 증발기(evaporator)를 개발했으며, 이 증발기는 유리섬유 기반 산란층, 탄소 soot(CS) 코팅, PVA-KGM 기반 생분해성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로 구성된 다기능 수직 적층 구조를 도입했다.○ 제안한 시스템은 20wt%의 고염도 염수 조건에서도 안정적 작동이 가능하며, 하이드로겔이 점진적으로 용해되면서 장기 내염성을 확보했다.○ 또한, 1 SUN(100㎽/㎠의 태양빛이 쪼이는 조건)에서 높은 증발률을 달성하여, 고효율 해수 담수화 및 지속가능한 물 정화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최원산 지도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고염도 조건에서도 지속 가능한 물 정화 기술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해수의 담수화 공정의 실용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 등록일2025-09-23 11:25:51
전자공학과 장은정 박사과정생, EFEPR 2025 포스터상 수상 이미지
전자공학과 장은정 박사과정생, EFEPR 2025 포스터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859
  • □ 우리 대학 전자공학과 장은정 박사과정생이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6일까지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The 10th European Federation of EPR(EFEPR) Summer School(2025)에 참가하여 포스터상(Sponsored by AMPERE)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유럽전자상자성공명연합(EFEPR)은 유럽 및 기타 국가의 전자스핀공명(EPR) 연구 그룹들이 모여 정보를 교류하고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92년에 설립한 국제 학술단체이다.○ EFEPR Summer School은 이 단체가 주관하는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으로, 젊은 연구자들에게 최신 EPR 기법과 응용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 장은정 박사과정생은 이번 프로그램에서 Optically Detected Magnetic Resonance (ODMR)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s라는 주제로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본 연구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발광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광검출 자기공명(ODMR) 측정 장치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다양한 발광 소자에 적용하여 스핀 의존적 동역학을 분석했다.○ 연구에서, 장 박사과정생은 엑시플렉스(exciplex), 열 활성 지연 형광(TADF), 인광(phosphorescence) 소자 등을 대상으로 ODMR 신호를 측정하여 ODMR의 선폭 및 크기 변화와 발광 스펙트럼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소자 내 스핀 의존적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RS-2024-00359103; 전계발광 자기공명 장치 개발을 통한 전자스핀 거동 규명과 응용, RS-2018- NR031073; 하이브리드 3D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 인쇄전자 시스템)
  • 등록일2025-09-15 17: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