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교류/산학

국가위기관리학회 2024 동계학술대회 개최

작성자기획과  조회수548 등록일2024-12-31
국가위기관리학회 2024년 동계학술대회1(원본).jpg [755.8 KB]
국가위기관리학회 2024년 동계학술대회2(원본).jpg [676.9 KB]


□ 우리 대학은 지난 27일과 28일 교내 국제교류관에서 디지털 시대 K-안전의 미래를 주제로 국가위기관리학회 2024 동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국가위기관리학회와 국립한밭대 디자인미래비전센터 방재디자인연구소 등이 공동 주관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 국가위기관리학회 노황우 회장, 국가위기관리포럼 이재은 상임대표, 대전광역시의회 조원휘 의장 등 주요 내외빈과 관련 분야 전문가 약 70여 명이 참석했다.

 ○ 기조 강연에는 School of Visual Arts 앤드류장 교수가 K-컬처와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해, 대전세종연구원 이형복 선임연구위원이 디지털 시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홍보 및 교육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 , 일반 세션 국가핵심기반체계 적응력 강화(문화재) 뉴노멀시대와 방재디자인 안전관리와 위기관리 역량 위기 대응과 지속가능성 기후 위기와 재난관리 재난 안전 대응 및 관리체계 강화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재난 대응 전략과, 특별 세션으로 아주대 온실가스감축 융복합 혁신 인재 양성 사업단이 주재한 기후 위기와 복합재난 대응 등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와 연계된 논문 발표와 전문가 토론도 이어졌다.

국가위기관리학회 노황우 회장(국립한밭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 교수)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인류 역사에 큰 전환점이 되고 있고 난치병 치료, 기아의 해소,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해답을 찾아줄 것이란 기대도 있지만 반대로 딥페이크 등 사이버 범죄와 에너지 문제, 고용 문제 등 사회적 위험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큰 것이 사실이다, 이번 학술대회가 디지털 시대 위기관리 분야의 융합과 활발한 정보교류를 통해 K-안전의 미래를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위기관리학회는 2009년 창립 이래 재난 및 위기관리 연구 분야의 대표 학술단체로 성장하고 있으며 행정학, 사회학, 정치학, 법학, 의학, 간호학, 토목건축공학, 기상학, 디자인 등을 전공하는 학자, 실무자 등 500여 명이 넘는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 또한, 국립한밭대 디자인미래비전센터 방재디자인연구소는 재난 및 안전디자인 분야의 관련 연구를 10년 넘게 진행해 오며 그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