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일반/홍보

산업디자인학과,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특별전시회 개최

작성자기획과  조회수12,522 등록일2024-07-18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특별전시회 개막행사.jpg [709.5 KB]

산업디자인학과,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특별전시회 개최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Held Special Exhibition on Public Design Projects Contributing to Community


- 5년간 진행한 총 13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117개의 작품, 갤러리M에서 전시

- A total of 13 public design projects that had been carried out for 5 years, 117 works had been exhibited in gallery M.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 산업디자인학과가 오는 23일까지 대전MBC 1층에 있는 갤러리M에서 지난 5년간 진행해 온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ould hold a special exhibition at Gallery M on the first floor of Daejeon MBC until the 23rd to show public design projects that had been in progress for five year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 ‘Our City, Designed by Us’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로컬 크리에이터 양성을 목표로 진행된 그동안의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다시 한 번 만나볼 수 있는 자리이다.

 ○ The exhibition, held under the theme of 'Our City, Designed by Us', is a place to meet the public design project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that had been conducted to foster local creators once again.

 ○ 국립한밭대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교수의 기획지도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13개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117개의 학생 작품이 전시되며, 시도향유시선도전참여 다섯 가지 테마로 구성했다.

 ○ With the planning and guidance of Professor Kim Ji-Hyun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13 public design projects and 117 student works that proceeded from 2019 to 2023 were displayed, and they are composed of five themes: try, engagement, gaze, challenge, and participation.

 ○ 첫 번째 테마인 시도는 실제로 한밭대 주변 보행로 조성에 변화를 가져왔던 한밭컬쳐 스페이스와 관련 전시 프로젝트들을 선보이고, 두 번째 향유는 지역 축제에 참여하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 The first theme, ‘try’, presents the Hanbat Culture Space and related exhibition projects that changed the creation of pedestrian paths around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enjoyment’, shows the process of creating new experiences by participating in local festivals.

 ○ 세 번째 시선은 학생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소제록 프로젝트를, 네 번째 도전은 국립한밭대학교 중앙광장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선한 과정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참여는 대전관광공사와 협업하여 대전을 직접 브랜딩하고 디자인한 작품을 소개한다.

 ○ The third, ‘gaze’, contains the Soje-rok project that tried to convey the message of students, and the fourth "challenge" includes the process of actively participating and improving the design of the central square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Finally, "participation" introduces works that directly brand and design Daejeon in collaboration with the Daejeon Tourism Organization.

김지현 교수는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했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재조명해 그 의미를 보여주는 뜻깊은 자리이다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확대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Professor Kim Ji-hyun said, "It is a meaningful place to re-examine public design projects that wan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and show their meaning, We hope that this exhibition will expand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nd discover many local creators who will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