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지난 9월 26일 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 주요 전산망이 마비됐다.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해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산하 기관으로, 정부의 모든 주요 정보시스템과 데이터를 통합·관리·보호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화재로 정부24, 국민신문고,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700여 개 시스템이 중단됐으며, 공무원 업무용 클라우드 ‘G드라이브’의 약 858TB에 달하는 데이터가 손실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조사 결과, 사용 연한이 지난 UPS 배터리를 전원 차단 없이 옮겨 설치하던 중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예산 부족으로 배터리 교체를 미뤘던 사실이 드러나 관리 부실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사고 발생 일주일 뒤인 10월 3일, 전산망 복구 업무를 맡던 공무원이 정부세종청사에서 투신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행안부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원인일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전산망 마비 사태의 심각성과 여파가 더 주목받았다.
한편, 11월 6일 9시 기준으로 정부는 1등급 시스템 40개(100%), 2등급 시스템 65개(95.6%)를 포함해 총 680개 시스템(95.9%)을 복구한 상태다. 행안부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부터 우선적으로 복구해 행정 공백을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대전과 대구 간 전산망 이중화 구축 계획을 발표했으나, 7천억 원 이상 소요되는 예산이 과제로 남아 있다. 초기 대응 지연과 소방 설비 미비 문제도 함께 지적되면서 정부 차원의 전면적인 안전 관리 강화와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민 생활과 국가 행정의 근간인 전산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글·사진 김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