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대학신문방송국

HIGH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사회

[552호] 온라인 테러 협박, 그저 장난?

작성자대학신문방송국  조회수60 등록일2025-09-03

최근 인터넷, SNS 공간을 중심으로 폭탄 설치나 흉기 난동 등 위협을 예고하는 협박 글이 연달아 등장했다. 서울 도심의 대형 백화점 사건부터, 지방 도시의 광장과 패스트푸드 매장, 게임사 본사 건물까지 위협의 범위는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사건이 확인될 때마다 경찰과 소방이 대규모로 출동하지만, 대부분 허위로 드러나면서 사회적 비용만 막대하다.

문제는 범행의 상당수가 청소년이나 20·30대 청년층의 일탈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법적으로 신설된 공중협박죄가 존재하지만, 실제로 구속이나 중형으로 이어지는 사례는 드물다. 미성년자의 경우 소년법 적용으로 보호처분에 그치며, 성인도 불구속 송치가 일반적이다. 처벌이 약하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협박 글 게시가 일종의 온라인 놀이처럼 소비되는 현상까지 나타난다.

대형 유통시설은 영업이 수 시간 중단되면서 수억 원의 매출 손실을 보았고, 시민들은 불안감 속에 일상생활을 중단해야 했다.

공권력 또한 허위 신고에 매번 투입되면서 실제 위협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복되는 거짓 경보는 사회 전반의 경각심을 무디게 만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죄의식이 결여된 상태에서 손쉽게 범행이 이루어진다고 분석한다. 사회적 불만을 직접 표출하지 못한 채 익명성에 숨어, 일시적인 쾌감을 얻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 대가로 사회 전체가 감당해야 하는 비용과 불안은 결코 장난으로 치부할 수 없다.

온라인 테러 협박은 단순 장난이나 해프닝이 아니다. 허위 협박이 더 이상 온라인에서 유희처럼 소비되지 않도록 강력한 대응과 사회적 인식 전환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사회는 이런 행위가 용납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림 김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