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대학신문방송국

HIGH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547호] 신소재공학과 학우,한국기계가공학회 2024 추계학술대회 수상인터뷰

작성자대학신문방송국  조회수55 등록일2025-01-08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학우들이 한국기계가공학회 2024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포스터 발표 부문), 우수논문상(일반구두 발표 부문), 혁신상(포스터 발표 부문)을 수상하며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황해인 학우(신소재공학 석사과정)는 저온 박막 증착 공정 연구, 조인호 학우(응용소재공학 박사과정)는 전기적 특성최적화 연구, 박아현 학우(신소재공 4)는 저온 증착 및 가공 기술 연구로 각자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어냈다.

Q. 이번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된 계기와 연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방향은 무엇이었나요?

. 플렉시블 전자기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의 고온 공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저온 박막 증착 및 패터닝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차세대 인터커넥션 소재로 Ru와 같은 금속이 연구되고 있으며, 지속적인미세화와 집적화로 인해 ALD(원자층 증착) 기술이 중요해졌습니다. ALD 기술이차세대 전자기기의 핵심 공정 중 하나가될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유기 소자와 같은 첨단 전자 기기의 수요 증가로 인해 저온 공정의 필요성을 해결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 기판 손상 문제와 저온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Q.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가장 의미 있는 결과는 무엇이며, 학술대회 수상을 통해 앞으로 학문적·실무적 목표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궁금합니다.

. 저온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을 통해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고온 공정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 중요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성과는 연구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고, 대학원에서도 실용적 기술과 학문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는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 Ru 박막의 비저항 감소에 후속 열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점이 가장의미 있습니다. 이 연구는 반도체 산업의 인터커넥션 기술과 소재 최적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입니다. 수상을 통해 제연구의 실질적 가치를 확인하며, 연구실구성원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 저온(100°C)에서도 고온(250°C)에서와 유사한 품질의 Al2O3 박막을 증착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한 것이 가장 큰 성과입니다. 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OLED 소자와 같은 고온에 민감한 기기의 봉지막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며 고민한 연구 주제가 학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Q. 후배 학부생들에게 연구와 학업에 대한 조언을 해주신다면 어떤 말을 해주고 싶으신가요?

. 자신의 관심 분야를 명확히 하고이를 기반으로 실험과 연구 경험을 최대한 많이 쌓아보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연구 과정의 실패도 중요한 배움이니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기를 바랍니다.

. 꾸준히 도전하는 자세를 유지하며, 주위의 조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과정을 즐기세요.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결과만큼이나 과정에서 얻는 경험입니다.

.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실패는 반드시 필요한 경험이며, 실패들이 쌓여가다 보면 어느 순간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작은 성취들을 소중히 여기며 즐거움을 느껴보세요. 도전이 언젠가 큰 결실로 이어질 것이라 응원합니다.

인터뷰를 통해 연구 주제를 선택한 계기와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이를 극복하며 얻은 성과,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들어볼 수 있었다. 세 연구자의 이야기는 후배연구자들에게도 큰 영감을 줄 것이다. 학문과 산업의 연결점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가고 있는 이들의 도전과 열정을 통해, 밝은 미래를 기대한다.

글 김나연 기자